본문 바로가기

특수교육21

특수교육, 학습장애 사회적 기술 평가 및 지도 학습장애 아동의 사회적 기술 결함 사회적 기술이란 개인이 긍정적인 사회관계를 형성하고 유지할 수 있는 능력을 의미한다. 이는 좁은 의미에서 대인관계 기술과 비슷한 뜻을 가지며, 대인관계가 이루어지는 구체적인 상황에서 발휘되는 적절한 사회적 반응이라고도 할 수 있다. 학습장애 아동 중에서 적어도 30% 이상의 아동들이 사회적 기술에 어려움을 갖고 있다고 보고된다. 이들이 보이는 문제점의 양상은 매우 다양하나, 대체로 또래와 구별되는 정도의 대인관계 문제, 낮은 사회성, 또래로부터의 고립 등이 공통적이다. 구체적으로는 감정표현 및 타인과의 공감이 어렵고, 결과 예측 능력이 부족하거나 충동 조절이 힘들며, 타인들과의 상호작용을 방해하는 행위에 대한 사회적 지각과 인지가 낮다. 제3자의 관점에서 보지 못하거나 .. 2023. 3. 7.
특수교육, 수학 학습장애 평가와 지도 수학 학습장애 유형과 특성 수학 학습장애는 아동이 자신의 연령 또는 지능 수준보다 현저하게 낮은 수학 학업성취를 보이는 경우이며, DSM-5에도 진단 준거가 제시되어 있다. 수학 학습장애의 유형은 크게 4가지로 살펴볼 수 있는데, 첫 번째는 단순 연산의 어려움이다. 이는 좌반구 후두엽의 손상과 관련이 있고, 장기기억화가 어렵기 때문에 단순 연산의 인출 속도와 정확성이 떨어진다. 두 번째는 연산 절차 이행의 어려움인데, 이 유형은 주의집중이 부족하거나 논리적인 연산 수행, 받아내림 등의 전략 활용에 어려움을 겪는다. 세 번째는 시공간적 정보의 수리적 처리의 어려움이다. 이 유형은 주로 우반구 후두엽 부분의 손상과 관련 있으며, 공간적 조작과 인식 및 수리적 정보의 시공간적 정보 변환 과정에 어려움을 보인다.. 2023. 3. 6.
특수교육, 학습장애 쓰기 평가와 지도 쓰기와 학습 문제 쓰기는 언어적으로 전달하는 내용을 기호화하고, 소리를 정확한 철자 형태의 문자기호로 표현하는 과정이다. 이는 언어적 기술에서 가장 복잡한 영역이며, 크게 글씨 쓰기(handwriting), 철자 쓰기(spelling), 작문(written expression-composition)의 3가지로 구분할 수 있다. 먼저 글씨 쓰기의 주된 목적은 정보 기록과 의사소통이다. 글씨 쓰기는 보통 3P에 의해 좌우되는데, 이는 자세(posture), 위치(position), 그리고 연필(pencil) 쥐는 법을 의미한다. 글씨 쓰기는 글씨의 모양, 띄어쓰기, 크기, 기울기 등의 질적 측면과 함께 글씨를 쓰는 속도에 따른 양적 측면을 함께 고려해야 한다. 다음으로 철자 쓰기는 언어의 인식, 재생, 그리.. 2023. 3. 5.
특수교육, 학습장애 읽기 평가와 지도 읽기의 중요성과 읽기 장애 읽기는 지식정보화 사회에서 새로운 지식을 획득하기 위해 개인에게 필요한 가장 기본적이고 중요한 능력이라고 할 수 있다. 읽기는 단어인식(word recognition)과 읽기 이해(comprehension)의 2가지 기능적 구성으로 이루어져 있다. 단어인식은 문자를 있는 그대로 해독(decoding)하는 것을 의미하는데, 이러한 단어인식은 거의 즉시적으로 단어를 인식하는 정도의 유창성으로 발달되어야 읽기 활동을 할 때 문자 해독보다는 내용 이해에 더 많은 주의를 기울일 수 있다. 한편 읽기 이해의 영역은 단어 이해부터 시작해 내용에 대한 문자적 이해, 추론적 이해, 평가적 이해 및 감상적 이해까지 나아간다. 학년이 올라갈수록 다양한 교과내용의 학습을 위한 수단으로 읽기 활동이 .. 2023. 3. 4.
특수교육, 학습장애와 신경생물학적 접근 두뇌의 구성과 기능 학습장애의 기질적 원인에 대해서는 두 가지 논쟁이 있다. 첫째는 학습장애가 기존 저성취라는 용어를 대체하는 하나의 인위적으로 만들어진 용어라는 입장과, 둘째는 학습장애가 저성취와 구별되는 기질적 장애라는 입장이다. 최근의 신경생물학 연구들은 후자를 뒷받침하고 있는데, 이를 위해서는 두뇌의 기능과 학습의 관련성을 살펴볼 필요가 있다. 인간의 두뇌는 약 860억 개의 신경세포로 되어 있는데, 이 신경세포들은 서로 연결망을 형성하고 신경전달물질을 통해 신호를 전달한다. 두뇌의 구성은 크게 소뇌, 뇌간, 대뇌로 이루어진다. 먼저 소뇌(cerebellum)는 자세, 균형 유지, 걷기 등의 자율적인 근육 움직임을 통제하고 조절하는 기능을 하는 부위이다. 소뇌에 기능 이상이 생기면 부자연스러운 걷.. 2023. 3. 3.
특수교육, 학습장애 정의와 특징 학습장애의 정의 미국에서 학습장애의 정의는 정신의학 분야와 특수교육 분야의 정의로 구분할 수 있다. 먼저 정신의학 분야에서는 '정신질환 진단 및 통계편람(Diagnostic and Statistical Manual of Mental Disorder-5: DSM-5)'에 따른 정의가 대표적이다. 학습장애는 '특정학습장애(Specific Learning Disabilities)'라는 명칭으로 불리며, 정상 수준의 지능을 가지고 있으나 학습하고 학업기술을 사용하는 데 어려움을 보이는 상태를 의미한다. 그리고 어려움을 보이는 특정 학습 영역을 위한 중재의 제공에도 불구하고 읽기, 쓰기, 수학 영역 중 1가지 이상의 영역에서 어려움을 보이는 증상이 6개월 이상 지속되는 경우에 진단된다. 한편 특수교육 분야에서는 .. 2023. 3. 2.
특수교육, 정서행동장애 분야 개선 과제 과제 1: 정서행동장애의 정의와 진단기준 체계화 정서행동장애 분야에 대한 특수교육에서 지속적 논의가 필요한 첫 번째 과제는 정서행동장애의 정의 및 진단기준 체계화이다. 먼저 정의 측면에서 우리나라의 '장애인 등에 대한 특수교육법'을 살펴보면, 정서행동장애에 대한 규정에서 모호한 표현들이 포함되어 있고 정서행동 문제의 정도(severity)에 대한 서술이 없다는 제한점이 있다. 또 정서행동장애의 진단 및 평가 측면에서는 학교 현장에서 활용될 수 있는 검사 및 측정 도구의 부족이라는 한계가 있다. '장애인 등에 대한 특수교육법 시행규칙' 별표 상에 정서행동장애와 자폐성장애에 대한 4가지 검사도구명이 제시되어있기는 하나, 정서와 행동에 대한 특성은 매우 복잡 다양하기 때문에 하나의 검사로 개개인을 판단하는 것.. 2023. 3. 1.
특수교육, 자폐스펙트럼장애 특성 및 중재 자폐스펙트럼장애의 특성 자폐스펙트럼장애의 특성은 크게 6가지 측면에서 살펴볼 수 있다. 첫째, 사회적 상호작용 측면에서 자폐스펙트럼장애 학생은 질적 결함을 보인다. 자폐스펙트럼장애 학생이 사회적 행동이나 사회작용을 전혀 보이지 않는 것은 아니다. 하지만 그 반응이나 행동이 일반적이지 않고 독특하여 적절한 상호작용의 시작 및 유지가 어렵다. 전형적으로 얼굴표정, 눈 맞춤, 발성 등을 사용하는 데 한계를 보이고, 상호작용이 일회성으로 그치는 경우가 많다. 둘째, 의사소통 측면에서 대부분의 자폐스펙트럼장애 학생은 구어 발달이 지체되어 있다. 때문에 자폐스펙트럼장애 학생의 경우 만 5세 이전에 집중적으로 의사소통에 대한 조기교육을 할 필요가 있다. 말을 할 수 있더라도 상대방의 의향에 상관없이 일방적으로 말을 .. 2023. 2. 28.
특수교육, 자폐스펙트럼장애 정의 및 원인 자폐스펙트럼장애의 정의와 출현율 자폐증이라는 뜻의 영어 단어 'autism'은 그리스어 'autos'(의미: self)에서 유래하였는데, 처음에는 자신을 제외한 타인과 의도적으로 상호작용을 거부하고 사회적 관계 형성을 회피하는 환자들의 특성을 기술하기 위해 사용되었다. 공식적인 용어의 정의는 소아정신과 의사 Leo Kanner의 1943년 발표 연구에서 이루어졌는데, 그는 사회적 고립, 비정상적 언어, 동일성에 대한 고집 등의 증상을 나타내는 증후군을 '초기유아자폐증(early infantile autism)'으로 명명하였다. 이후 자폐성 장애에 대한 논의가 꾸준히 이루어져 용어와 정의가 계속해서 바뀌어왔는데, 보편적인 자폐증의 특징적인 증상을 가지면서도 전형적 자폐성 장애와는 차이가 있는 아동의 경우가.. 2023. 2. 27.
특수교육, 아동청소년기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 ADHD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ADHD)의 정의 및 출현율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ADHD)는 학교 현장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장애 중 하나이다. 이 용어에는 산만하거나 지속적인 주의집중이 어려운 '주의력 결핍'과 끊임없이 움직이고 가만히 있지 못하거나 충동적으로 행동하는 '과잉행동' 두 가지가 포함되어 있다. DSM-5에서는 ADHD 아동이 또래 아동들보다 심한 부주의 행동이 지속되거나 과잉행동 또는 충동성을 지니고 있다고 설명하는데, 부주의 진단기준 9가지 중 6가지 그리고/또는 과잉행동 및 충동성 진단기준 9가지 중 6가지가 최소한 6개월 이상 지속적으로 나타나야 진단이 가능하다. 부주의 진단기준에는 세부적인 면에 대한 부주의 또는 학업 등에서의 부주의한 실수, 일 또는 놀이에서의 지속적인 주의집중의 어려.. 2023. 2. 26.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