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특수교육

특수교육, 학습장애 쓰기 평가와 지도

by 인포-그램 2023. 3. 5.

필기체-알파벳을-쓰기-연습하는-아이의-손-사진

쓰기와 학습 문제

쓰기는 언어적으로 전달하는 내용을 기호화하고, 소리를 정확한 철자 형태의 문자기호로 표현하는 과정이다. 이는 언어적 기술에서 가장 복잡한 영역이며, 크게 글씨 쓰기(handwriting), 철자 쓰기(spelling), 작문(written expression-composition)의 3가지로 구분할 수 있다. 먼저 글씨 쓰기의 주된 목적은 정보 기록과 의사소통이다. 글씨 쓰기는 보통 3P에 의해 좌우되는데, 이는 자세(posture), 위치(position), 그리고 연필(pencil) 쥐는 법을 의미한다. 글씨 쓰기는 글씨의 모양, 띄어쓰기, 크기, 기울기 등의 질적 측면과 함께 글씨를 쓰는 속도에 따른 양적 측면을 함께 고려해야 한다. 다음으로 철자 쓰기는 언어의 인식, 재생, 그리고 정확한 철자 배열 등의 다양한 과정을 포함한다. 이는 단어를 익히고 읽는 것과 밀접한 연관성이 있기 때문에, 언어와 읽기에 어려움을 느끼는 많은 학습장애 아동이 철자 쓰기에 부진한 모습을 보인다. 마지막으로 작문은 문법적 복잡성과 더불어 글의 줄거리, 목적, 논리, 묘사 등을 활용하여 글을 쓰는 능력을 의미한다. 작문에 미숙한 학생의 경우 수식어가 거의 없는 간단한 문장을 쓰거나, 알고 있는 것을 글로 표현하기 어려워하는 특성을 보인다. 이러한 쓰기는 초등학령기에 익혀야 하는 중요한 기술이나, 대부분의 학습장애 아동들에게 쓰기는 읽기보다 훨씬 어려운 과제이다. 쓰기에 어려움을 겪는 아동들은 일반적으로 알아보기 힘든 글씨, 문자 조직의 취약함, 문장 내 문법 및 문장부호의 오류, 철자 오류 등의 문제점을 보인다. 그 외에도 쓰기 과정 전반(생성, 계획, 작성 및 퇴고)에서의 어려움, 주어진 시간 내 문장의 미완성, 단순한 주어-동사-목적어 문장의 사용 등의 학습 문제를 겪는다.

 

쓰기 검사와 평가

쓰기를 평가할 때에는 가급적 쓰인 글을 기준에 의해 평가하는 직접 평가를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직접 평가는 학생에게 자극을 제공하고 이에 대한 반응을 글로 이끌어내는 것으로, 설명문, 논설문, 시, 소설 등이 될 수 있다. 학생의 글에 대해 표준화된 기준을 사용하여 채점을 할 수 있으며, 그 기준은 주관적 평가방식과 객관적 평가방식의 형태가 있다. 주관적 평가는 질적 평가라고도 하며, 글에 나타난 질을 결정하는 데 어느 정도 평가자의 주관이 개입된다. 이러한 평가에서는 글의 내용(풍부성, 정확성, 관련성 등), 글의 조직(문단 구성, 글의 짜임, 통일성 등), 글의 표현(표현의 정확성, 독창성, 적절성 등) 등을 준거로 삼아 평가하게 된다. 한편 객관적 평가는 양적 평가라고도 하며, 학생의 응답을 채점하는 명백하고 양적인 기준이 있는 것이다. 이를 위해서는 유창성(총 단어 수, 정확한 단어와 음절 수 등), 문장의 질(단문, 중문, 복문 문장의 수), 어문 규정(문법 오류의 빈도) 등을 평가 기준으로 삼을 수 있다. 효과적인 쓰기 평가를 위해서는 이러한 양적 평가(문법적 오류의 수)와 질적 평가(내용, 구성, 문체, 창의성 등)가 동시에 고려되어야 하며, 대표적인 예로는 기초학습기능 쓰기검사(BASA-WRITING)가 있다. 이 검사는 이야기의 서두를 제시한 뒤 이어질 이야기를 써보도록 하는데, 학생이 주어진 시간 내에 얼마나 많은 글자를 정확하게 쓰는가를 측정하게 된다. 쓰기 유창성을 평가하기 위해 총 음절과 정확 음절을 채점하는 정량적 평가가 기본이 되며, 부가적 정보를 위해 글의 형식, 조직, 문체, 표현, 내용, 주제 등을 채점하는 정성적 평가도 포함될 수 있다.

 

쓰기와 작문 지도

학습장애 학생의 쓰기 능력 향상을 위해서는 논리적으로 사고를 조직하는 힘을 길러주는 것과 함께, 정확하게 의사소통하기 위한 쓰기 표현을 지도할 필요가 있다. 과정중심 접근에서의 쓰기 지도는 지속적인 쓰기 활동의 반복이 가능하고 자기주도적 학습환경을 제공한다는 점에서 장점이 있다. 이는 학생들이 글을 쓸 때 거치는 각 쓰기의 과정에 교사가 집중적으로 구체적 단서를 제공하거나 피드백을 주며 지도를 하는 것이다. 글쓰기 준비, 초고 작성, 수정, 편집, 결과물 게시로 이루어지는 각각의 쓰기 단계에서 교사는 시범을 보이거나, 협동 전략을 활용하거나, 어휘 목록 또는 문법 오류 유형을 제시하는 등의 적절한 지원을 제공할 수 있다. 그 외에도 작문에 어려움을 겪는 학생들을 위한 여러 가지 지침이 있는데, 충분한 쓰기 시간 할당하기, 다양한 쓰기 과제 제시하기, 다른 과목과 쓰기 통합하기, 어문 규정 오류에 대해 직접적인 지도하기, 쓰기 단계를 따르도록 하기, 모델링이 될 수 있는 훌륭한 쓰기 작품 제시하기 등이 그것이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