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안장애의 정의와 하위유형
불안장애는 사람이 느끼는 위협에 대해 3가지 유형의 반응을 포함하는데, 행동적 요소(도망가기, 눈 감기, 소리 지르기), 생리적 요소(빨라지는 심장박동, 가쁜 호흡, 근육 긴장), 인지적 요소(부정적인 일이 일어날 것이라는 생각)가 그것이다. 미국정신의학회가 제시하는 DSM-5에서는 불안장애의 하위 유형을 분리불안장애, 범불안장애, 공황장애, 특정 공포증, 사회적 불안장애 등으로 다루고 있다. 첫 번째로 분리불안장애(separation anxiety disorder: SAD)는 부모 또는 특정한 애착대상으로부터의 분리에 대해 나이에 맞지 않게 과도하고 지속적인 불안을 느끼고 비현실적 걱정을 한다. 이는 아동기에 매우 흔하게 나타나는 불안장애이고, DSM-5에서 제시하는 진단기준 8가지 중 최소한 3가지 특성이 지속적으로 나타나야 진단할 수 있다. 지역사회를 표본으로 할 때는 출현율이 3~12%로 추정되고, 분리불안장애 아동들의 80%는 다른 종류의 장애를 수반하기도 한다. 두 번째로 범불안장애(generalized anxiety disorder: GAD)는 통제불가능한 만성적 과도 불안을 의미하는 것으로, 특정한 상황에 초점이 맞추어지지 않은 불안이다. 범불안장애 아동은 불안할 때 신경성 습관이 있고 두통이나 복통을 자주 호소하기도 하며, 여러 가지 생활의 사건 또는 자연재해까지도 걱정하며 불안해하기도 한다. 아동기와 청소년기에서 범불안장애는 2~14%의 출현율로 추정된다. 세 번째, 공황장애는 예기치 못한 불안발작과 함께 현기증, 오한, 손발 저림 등과 같은 증상이 복합적으로 발현하는 것이다. 공황발작은 그 자체가 장애는 아니다. 왜냐하면 높은 강도의 공포와 두려움이 발작적으로 일어나 10분 이내에 사라지기 때문이다. 하지만 여러 불안장애의 유형과 연관되어 나타나며, 재발할 것에 대해 불안해하게 된다. 아동기 공황장애를 진단하는 것은 매우 어려우나, 청소년기에는 다수 나타나며 남성보다 여성의 출현율이 높다고 추정한다. 네 번째로 특정공포증은 특정 사물이나 상황에 만성적이고 과도한 두려움을 느끼며 생활기능에 중요한 결함을 초래하는 것이다. 특정공포증의 대상이 되는 것에는 동물, 자연환경(물, 높은 곳), 상황(비행기, 폐쇄된 공간), 기타(피, 주사, 큰 소리) 등이 있다. 아동기와 청소년기의 불안장애 중에서 흔한 유형이며, 지역사회 표본에서 출현율은 3~4%로 추정된다. 마지막으로 사회적 불안장애는 사회적 공포증이라고도 하며, 사회적 상황에서 자신이 당황 또는 수치스럽게 행동하거나 세심하게 관찰당할 것에 대해 지속적이고 과도한 두려움을 나타내는 것을 의미한다. 사회적 불안장애 아동은 주로 대중 앞에서 발표하거나 글 읽는 것, 대화를 하는 것, 권위적인 인물 앞에서 상호작용하는 것 등에 대해 두려움을 느낀다. 사회적 불안장애를 가진 청소년은 우울장애와 다른 불안장애를 동반할 수 있다.
불안장애의 원인과 중재
불안장애의 요인에 대한 상호작용 기제는 명확하게 밝혀지지는 않았으나, 다양한 측면에서 설명할 수 있다. 신체생리 모델에 따르면 유전적 요인, 자율신경계 또는 신경전달물질과 같은 신경생물학적 요인, 타고난 기질적 요인이 있고, 행동주의 모델에 따르면 수동적 및 조작적 조건화 요인이 있다. 인지적 모델에서는 비현실적 지각과 인지적 오류에서 원인을 설명하고 있으며, 생태학 모델에서는 다양한 환경적 스트레스 요인(가족, 부정적 생활사건 등)을 제시한다. 이러한 아동기와 청소년기 불안장애에 가장 대중적인 중재는 인지행동중재와 약물치료이다. 먼저 인지행동중재에서는 다양한 인지행동 전략들을 활용하여 불안장애를 감소시키고자 한다. 예를 들면 다른 사람이 불안해하지 않는 장면을 역할 모델로 활용하여 불안장애 아동의 두려움을 감소시키는 '모델링', 불안을 야기하는 약한 자극부터 강한 자극까지 점진적으로 노출시키는 '체계적 둔감법', 반대로 불안을 야기하는 강한 자극에 초기부터 오랫동안 노출시키는 '정동홍수법', 아동에게 충격이 되었던 사건을 중재자와 함께 재생하고 재검토하는 '재노출요법' 등이 있다. 또한 아동이 스스로 불안이나 두려움을 감소시키는 긍정적인 자기 말을 연습시키는 등의 '자기 통제 기술', 긴장 수준을 낮추기 위해 깊은 호흡, 명상 등을 훈련하는 '이완훈련'도 포함된다. 한편 약물치료의 경우 삼환계 항우울제, 선택적 세로토닌 재흡수 억제제, 항불안제 등이 사용되나, 아동 및 청소년에 대한 효과와 부작용의 연구는 많지 않으므로 매우 신중하게 적용되어야 한다.
'특수교육' 카테고리의 다른 글
특수교육, 아동청소년기 우울장애 (0) | 2023.02.24 |
---|---|
특수교육, 아동청소년기 기초신체기능장애 (0) | 2023.02.24 |
특수교육, 정서행동장애에 대한 생태학 모델 (0) | 2023.02.23 |
특수교육, 정서행동장애에 대한 인지 모델 (0) | 2023.02.23 |
특수교육, 정서행동장애에 대한 행동주의 모델 (0) | 2023.02.23 |
댓글